황문권 기자
[대한복지일보 황문권 기자]환경부 한강유역환경청은 팔당호의 조류가 과다 번식함에 따라 19일 ‘조류주의보’를 발령했다.
최근 5년간 팔당호에 조류주의보가 발령된 것은 이상 발령은 2010년 이후 4번째다.
이번 주의보 발령은 북한강 수계 삼봉지점에서 클로로필-a 및 남조류 세포수가 기준을 초과함에 따른 것이다.
조류주의보는 2회 연속 클로로필-a 농도가 15㎎/㎥이상이고 유해남조류 세포수가 500개/mL 이상일 때 발령된다.
실제 지난 2주간 조류 농도 분석결과, 북한강 수계 삼봉지점에서 클로로필-a 및 남조류 세포수는 각각 29.4mg/㎥, 4221개/㎖ 로 파악됐다. 팔당댐 앞은 55.8mg/㎥, 2만 7860개/㎖로 나타났다.
이번 조류발생 원인은 예년에 비해 적은 강우량과 간헐적 강우로 인해 상류지역의 질소, 인과 같은 영양염류 유입, 최근 폭염에 따른 수온상승 등으로 분석됐다.
한강유역환경청은 조류 확산과 농도증가에 대비해 21일 경기도, K-water(팔당권관리단), 한강물환경연구소 등 관계기관 대책 회의를 열어 조류주의보 발령에 따른 후속조치를 논의한다.
또 조류저감을 위해 팔당호 주변 18개 취정수장에 활성탄 투입 등 정수처리를 강화하고 취수 원수에 대한 이·취미분석 등 수질검사를 주 1회에서 2회 늘리기로 했다.
이광수 한강유역환경청 수생태관리과장은 “상류 수상레저시설 이용 자제, 하수처리시설 및 가축분뇨처리시설에 대한 운영관리를 강화하는 등 상수원 수질보전에 모두가 적극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