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문화]구한말 우리식물, 역사 되어 돌아왔다 - 1886년에서 1902년에 반출된 자생식물 100점 국내 반입 - 러시아 코마로프식물연구소와 공동연구를 통한 기증 - 매우 희귀한 구한말 표본으로 서울과 인천 식물의 과거 기록
기사수정

[대한복지일보장영기 기자]국립생물자원관(관장 김상배)은 러시아 코마로프식물연구소와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구한말 채집되어 코마로프식물연구소 수장고에 100~130년간 보관되어 있던 한반도산 관속식물 표본 100점을 지난달 30일 기증받았다고 밝혔다.

관속식물 표본 100점은 주로 1886년부터 1902년 사이 조선에 머물던 러시아와 폴란드의 전문 채집가, 의사, 통역사에 의해 인천 제물포와 서울에서 채집된 후 코마로프식물연구소에 보관되어온 표본이다.

이들 표본은 제비꿀, 싱아, 도라지, 시호, 층층잔대 등이며, 과거 한반도의 생물다양성을 파악하고 한반도 생물종 분포 변화에 대한 연구자료로 가치가 높다.

표본 중 26점은 한국 최초의 서양식 호텔인 손탁호텔의 지배인이었던 앙투아네트 손탁이 창덕궁, 탑동(현재 낙원동), 진고개(현재 충무로), 효창동 등 서울에서 채집한 것이며, 서울에서는 현재 찾아보기 어려운 싱아 4점이 포함돼 있다.

* 싱아 : 우리나라와 중국에 주로 분포하는 마디풀과 식물로, 어린잎과 줄기는 나물로, 어린대는 신맛이 있어 주로 먹는다. 전국의 산기슭에 분포하나 최근 서울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소설가 박완서의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에서 언급된 종이다.

표본 중 52점은 유명한 러시아 식물학자인 분게의 아들인 알렉산더 알렉산드로비치 분게가 구한말 개항장으로 지정되었던 제물포에서 1888년과 1989년에 채집한 것들이다.

나머지 22점은 폴란드인 채집가 칼리노브스키 등이 비슷한 시기에 인천과 서울에서 채집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번에 기증받은 구한말 관속식물표본 100점을 기후변화에 따른 생물분포 연구 등의 연구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한편, 우리나라 자생생물은 19세기 초부터 외국인에 의해 채집되어 반출된 후, 세계 유수의 박물관과 표본관에 소장되어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08년부터 최근까지 전세계 10개국 27개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한반도산 생물표본 3만 8,000점을 확인하고 화상자료를 확보했다.

이미 반출된 생물표본을 국내로 반입하는 것은 국제 관례상 어려운 일이다. 때문에 정부는 국외기관과의 공동연구 등을 통해 기증을 유도하고 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그간 일본국립과학박물관(2008년), 헝가리자연사박물관(2010년), 큐슈대학교(2014년)으로부터 현재까지 총 4,820점의 한반도산 생물표본을 기증받은 바 있다.

김상배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미 반출된 한반도산 표본에 대해 계속적인 추적조사와 자료를 확보하고 관련 기관과의 상호협력을 통해 기증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2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djj.kr/news/view.php?idx=133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관련기사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