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경제]S&P, 한국 국가신용등급 사상최고 ‘AA’로 상향 - 21개 등급 중 3번째 ‘선진경제 수준’…전망은 ‘안정적’ 유지
기사수정


국제신용평가기관인 S&P가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을 ‘AA- (안정적)’에서 ‘AA (안정적)’로 한등급 상향조정했다. 이는 전체 21개 등급 중 3번째로 높은 등급으로 선진경제 수준의 국가신용등급을 의미한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대한복지일보 장영기 기자]국제신용평가기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을 ‘AA- (안정적)’에서 ‘AA (안정적)’로 한등급 상향조정했다.

 

기획재정부는 S&P가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을 지난해 9월 ‘AA-’에서 ‘AA’로 11개월만에 상향조정했다고 8일 밝혔다. 국가 신용등급 전망은 ‘안정적’(stable)으로 제시해 현재 수준을 유지했다.


S&P가 상향조정한 AA 등급은 전체 21개 등급 중에서 3번째로 높은 등급으로, 우리나라가 S&P로부터 AA 등급을 부여받은 것은 역사상 최초의 일이다.

이로써 지난해 12월19일 무디스(Moody’s)가 부여한 Aa2(=AA)에 이어, 이번 S&P로부터도 AA 등급을 부여받아 명실상부한 AA 등급 국가로 발돋움하게 됐다.

 

S&P 기준으로 볼 때 영국·프랑스와 국가신용등급이 같지만, 이들 국가의 전망이 부정적(negative)인 점을 감안하면 선진경제 수준의 국가신용등급을 갖게 된 것이다. 또한, 중국·일본과의 국가신용등급 격차도 한층 더 벌어지게 됐다.

1

최근 선진국, 신흥국을 가리지 않는 전세계적인 국가신용등급 하향조정 추세를 감안할 때 이번 S&P가 우리나라 국가신용등급을 상향조정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글로벌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 한국경제가 차별화되는 주요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이번 등급 상향조정이 향후 국내 금융사·공기업 등의 신용등급 상승으로도 이어져 해외차입 비용 감소 등 대외안정성을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S&P측은 신용등급 상향조정의 요인으로 견조한 경제 성장, 지속적인 대외건전성 개선, 충분한 재정·통화정책 여력 등을 제시했다.

 

S&P는 한국 경제가 최근 수년간 대부분 선진 경제에 비해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냈다고 평가했다.

S&P는 한국의 1인당 GDP 성장률이 2.6% 수준으로 선진국의 0.3%~1.5%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했으며 오는 2019년 한국의 1인당 GDP가 3만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한국 경제는 특정 산업 또는 수출시장에 의존하지 않은 다변화된 구조를 갖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올해 수출이 부진하고 조선산업이 구조조정을 겪고 있으나, 수출 실적은 지역내 여타 국가와 비교해 크게 다르지 않은 수준이며 미국 경제의 회복이 대중국 수출 부진을 일부 보완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S&P측은 한국의 대외부문 지표 개선도 이번 신용등급 상향조정의 원인중 하나라고 밝혔다.

S&P는 특히 국내 은행이 지난해 대외순채권 상태로 전환되고 은행부문 대외채무의 평균 만기가 증가했으며 경상계정 수입 대비 단기외채 규모가 감소했다는 점을 언급했다.

 

또한 S&P는 올해말 기준으로 정부·금융시스템의 유동자산과 총외채의 차이가 경상계정 수입의 32%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고 한국의 변동 환율과 외환시장의 깊이가 대외 충격에 대한 강한 충격흡수 장치(buffer)로 작동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한국 경제는 큰 폭의 경상수지 흑자를 보이고 있으며, 세계교역 감소로 향후 2~3년간 흑자폭이 줄어들 수 있으나 GDP 대비 5%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S&P는 한국의 통화정책이 견조하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지원해 왔다고 언급하고, 그간의 물가안정 목표제가 경제 안정과 인플레이션 기대를 관리하는 데 대체로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높은 가계부채가 통화정책을 제약할 수 있으나, 변동금리부 대출의 고정금리 대출 전환 등의 노력이 가계 부채 위험을 완화하는 데 기여했다고 언급했다.

또한 한국 정부의 건전한 재정상황이 국가신용 등급에 기여했다고 평가하고, 자체 계산에 따르면 한국 정부의 부채는 지난해기준 GDP의 20% 수준으로 크지 않은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GDP의 약 25%에 해당하는 비금융 공공기관 부채가 정부 재정의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은행부문 수익성 악화가 지속될 경, 정부의 재정 지원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S&P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자체 신용등급이 낮고 비금융 공공기관에 대한 대출이 크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편 S&P는 ‘안정적’ 신용등급 전망은 지정학적 위험이 크게 증대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향후 2년간 신용등급이 변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S&P는 향후 신용등급 상향 요인으로 추가적인 성장을 통한 경제 성과와 안정성 강화를 제시했으며, 하향조정 요인으로는 북한과의 지정학적 긴장 고조를 제시했다.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djj.kr/news/view.php?idx=25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관련기사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