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문화]첫 서울시장 선거는 언제? 그때 그 지방선거 풍경 전시로 - 서울역사박물관, 6.13 지방선거 맞아 '서울의 선거 풍경 展' 6.5.∼7.15.
기사수정
[대한복지일보 신상미 기자]광복 후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지방선거가 시행된 건 1952년. 지금은 전국에서 동시에 선거가 치러지고 있지만 당시는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치안문제로 서울 등 일부 지역에서는 선거를 실시하지 못했다. 

첫 서울시장 선거는 1960년 4.19혁명으로 탄생한 제2공화국이 전면적인 지방자치제를 실시하면서 같은 해 치러졌다. 

서울의 선거 풍경 展

당시 교동국민학교에서 열린 서울시장 후보 첫 합동연설회에는 혹한의 추위에도 2천여 명의 청중이 운집했고, 선거 당일 개표는 어두운 전등 탓에 촛불까지 켜놓고 치열하게 이뤄졌다.

하지만 온전한 지방자치가 시도된 지 5개월 만인 이듬해 5.16 군사정변으로 지방의회는 해산됐고 대통령중심제가 채택되면서 지방자치단체장은 다시 임명제로 바뀌었다. 지방자치는 무려 30년이 지난 1991년이 되어서야 부활, 1995년 역사적인 ‘제1회 동시지방선거’가 열렸다. 

올해로 7번째로 치러지는 6.13 전국동시지방선거가 약 2주 뒤로 다가온 가운데, 현대사의 굴곡과 함께해 온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의 역사와 서울의 다양한 선거 풍경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서울역사박물관은 6월5일∼7월15일 박물관 로비에서 '서울의 선거 풍경' 특별전을 무료로 개최한다고 밝혔다. 

지방선거는 지역주민의 대표자인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을 선출하기 위해 시행하는 선거로서, 국민들이 직접 정치에 참여하는 참여 민주주의의 형태인 풀뿌리 민주주의를 구현하는 중요한 행위이다. 

이번 전시에서는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역사를 살펴보고, 첫 민선 서울시장 선거의 모습 등 서울의 지방선거 풍경을 사진 및 전시자료 30여 점과 지방자치법 간행물, 서울특별시의회 의원선거 투표용지 등 지방선거 관련유물 11점 등으로 생생하게 소개한다.

특히, 1960년에 정부에서 제작한 지방선거 홍보영상과 당시의 선거풍경을 담은 뉴스 영상도 대형화면으로 볼 수 있다. 

전시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관람 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 토·일·공휴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이다. 공휴일을 제외한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자세한 정보는 서울역사박물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송인호 서울역사박물관장은 “제7회 지방선거를 맞아 첫 서울시장 선거를 비롯해 지금은 보기 어려운 다양한 옛 선거 풍경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전시를 마련했다”며 “이번 지방선거에서 진정한 지역의 대표를 선출할 수 있는 올바른 한 표 행사하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djj.kr/news/view.php?idx=661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