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사회]독도의 해양생물 다양성 보전 위한 개선사업 시행 - 해양환경공단,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과 협력
기사수정
[대한복지일보 김경훈 기자]해양수산부는 갯녹음으로 점차 줄어들고 있는 독도해역의 해조류 서식지를 회복하기 위해 성게, 석회조류 등의 갯녹음 원인생물 제거, 해조류 이식 등 다양한 해양생태계 개선사업을 시행한다.

독도는 해양수산부가 2017년 시행한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 결과 총 379종의 해양생물이 서식하는 등 높은 생물다양성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해양생물의 서식지·산란지로 이용되어 생물 다양성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해조류가 110종에 달하고, 대형 해조류인 감태와 대황도 대규모로 서식하고 있어 단위면적당 생물량이 국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2018년도 사업내용

그러나 최근 독도 주변의 일부 해역에서 갯녹음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어 생물 다양성의 훼손이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는 독도해역의 해조류 서식지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2015년부터 ‘해양생물 다양성 회복사업’을 시행해 오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2017년까지 갯녹음 원인생물인 성게 4.8톤을 수거하고, 2.2ha에서 석회조류를 제거했다.

올해는 ①갯녹음 진행 → ②성게 개체 수 증가 → ③성게의 해조류 섭식 → ④해조류 서식지 감소의 악순환을 끊기 위해 성게 서식밀도가 높은 서도 남쪽 해역에서 약 15톤의 성게를 제거할 계획이다.

또한, 갯녹음이 심화된 일부해역에서는 석회조류 제거와 해조류 이식을 병행하여 훼손된 해조류 서식지를 복원한다. 

아울러, 먹이사슬에 의해 자연적으로 성게 개체수가 조절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성게를 주로 잡아먹는 돌돔 치어 1만 마리를 방류할 계획이다.

성게·석회조류 제거 및 해조류 이식을 위한 수중작업에는 50여 명의 전문 잠수인력이 참여하며, 오는 6월말까지 총 3회에 걸쳐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오는 5일 독도에서 독도 해양생물 다양성 회복사업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 행사에는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공단,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울릉도·독도해양과학기지, 한국수족관발전협회, 지역어촌계 관계자 등이 참석한다.

강용석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이번 사업에는 독도의 해양생태계를 살리기 위해 많은 기관이 자발적으로 참여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라며, “우리 땅 독도의 해양생태계를 건강하게 잘 보전하여 해양생물 자원의 보고로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djj.kr/news/view.php?idx=662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