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대한복지일보 김경훈 기자]여름 휴가철을 맞아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여행객들은 세계 곳곳에서 콜레라, 홍역, 모기매개 감염병이 지속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지난 달 인도를 방문한 해외여행객 중 콜레라균이 검출되어 올 해 첫 콜레라 해외유입 사례가 발생했으며, 최근 들어 동남아시아 지역은 모기를 매개로 한 감염병인 뎅기열, 말라리아, 치쿤구니야열, 웨스트나일열, 지카바이러스감염 등 세계 여러 곳에서 감염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해외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경우 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www.cdc.go.kr) 및 모바일 홈페이지(http:// m.cdc.go.kr)를 방문하거나 콜센터(1339)에 연락해 여행지의 감염병 발생 정보와 예방접종 및 감염병 예방행동수칙을 꼼꼼하게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검역감염병 오염지역과 해외감염병 예방수칙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안내문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국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검역감염병 오염지역 영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해외감염병 예방수칙 5가지

1. 여행국가 감염병 발생정보 확인하기

해외여행 전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http://cdc.go.kr) 또는 콜센터(1339)에서 국가별 감염병 발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출국 최소 2주전 예방접종 받기

해외여행 국가별 예방접종이 필요한 백신은 출국 최소 2주 전에 접종받는다. 황열, 콜레라 예방 백신은 국제공인 예방접종 지정기관에서, 그 외 백신(예:A형간염, 장티푸스, 폴리오 등)은 가까운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서 접종 가능하다.
 

3. 해외여행 시 동물 접촉 피하기

낙타, 조류 등 야생동물과의 접촉을 피하고,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주의해야 한다.

4. 입국시 건강상태 질문서 제출하기
 
검역감염병 오염지역에 체류·경유한 경우, 입국시 검역관에게 건강상태질문서를 제출하고, 발열, 기침 등 증상 발생 시 검역관에게 신고한다.

5. 귀국 후 증상 발생시 질병관리본부 신고하기

귀가 후 감염병 잠복기 내에 증상 발생시,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에 신고해, 보건소 연계 등 신속한 조치를 받을 수 있다.

 

<자료=질병관리본부>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djj.kr/news/view.php?idx=694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관련기사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