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환경]금강 3개 보 완전개방 이후 물흐름 대폭 개선 - 습지·웅덩이·모래톱 등 다양한 생태공간 서식환경 개선, 세종보는 유수성 …
기사수정
[대한복지일보 신상미 기자]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올해 10월 16일부터 31일까지 4대강 수계 중 금강 수계의 모든 보를 처음으로 완전히 개방했으며, 이 기간 동안 수질, 경관, 생태계 등 14개 분야*를 집중 관찰한 결과를 공개했다.

또한, 수질 측정(1회/주→2회/주), 경관 촬영(1회/분기→1~2회/주) 강화 등 보 개방 이후 영향을 심층 조사하여, 금강의 자연성이 일부 회복되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

보 개방 이후 물의 흐름은 체류시간이 크게 감소(40.0~76.5%)하고 유속이 큰 폭으로 증가(72%~222%)하는 등 대폭 개선되었다.

금강 완전개방 이후 수계 전 구간에서 유수성 구간이 회복되어 수계 전체적으로 수질·생태계·경관변화 등에 기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1


조류(클로로필a)는 3개 보 완전 개방 이후 예년 같은 기간 대비 57~86% 감소했다.
또한 10월 이후에는 조류 및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총인(T-P) 모두 예년에 비해 큰 폭으로 감소했다.

생태계의 경우, 유수성 어종이 증가하고, 정수성 어종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세종보에서 유수성 어종인 피라미가 우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완전 개방 기간 동안 금강 수계에서 물새류 비율이 미개방 보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3

경관 변화의 경우, 수위 저하에 따라 모래톱(세종보에서 4.6배 증가) 및 수변 생태 공간(9~89%)이 크게 늘어났다.

이에 따라 습지와 웅덩이 등이 생기면서 다양한 물새류와 표범장지뱀, 맹꽁이, 삵, 수달과 같은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 환경이 개선되었다.

또한 보 개방에 따라 노출된 수변부를 중심으로는 빠른 속도로 식생이 정착하고 있는 모습이 관찰되기도 했다.

4
물이용의 경우, 금강 2개 취수장 모두 취수장애가 없었던 것으로 보고되었다.
양수장의 경우 농업용수 공급 완료에 따라 가동 종료 되었고 보 개방 수위 변동 보다 대체로 지하수위 변동 폭이 적었으나, 지하수를 많이 이용하는 백제보는 지하수위 변동 폭이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보 본체 구조물에 대한 침하계, 경사계, 간극수압계 등 계측결과 큰 변동 없이 기준치 이내임이 확인되었다.

이번 금강 수계 완전개방 기간 동안의 관찰(모니터링) 결과는 수계 및 보별 민·관협의체 등 지역사회와 공유될 계획이며, 자세한 결과는 보 모니터링 종합정보 시스템(http://water.nier.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djj.kr/news/view.php?idx=766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관련기사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