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문화]국가중요어업유산 2건 추가 지정 - 무안 신안 갯벌낙지 맨손어업, 하동 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 지정
기사수정

[대한복지일보 신상미 기자]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1130() ‘무안 신안 갯벌낙지 맨손어업하동?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을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추가 지정하였다. 

 해양수산부는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고유의 유?무형 어업자산을 보전하기 위해 2015년부터 국가중요어업유산*을 지정하여 관리해오고 있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제주 해녀어업(2015), 보성 뻘배어업(2015),남해죽방렴어업(2015), 신안 천일염업(2016), 완도 지주식 김 양식어업(2017) 5개가 지정되어 있으며, 이번에 전남 무안 신안 갯벌낙지 맨손어업과경남 하동?전남 광양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이 추가로 지정되었다. 

전남 무안 신안의 갯벌낙지 맨손어업은 남성은 가래 삽*’을 사용하고 여성은맨손으로 갯벌에 서식하는 낙지를 채취하는 전통어법이다.

특히 전남 무안 신안군의 갯벌은 영양분이 풍부한 펄 갯벌이어서 타 지역에 서식하는 낙지에 비해 유연하고 부드러운 육질을 가진 낙지를 채취할 수 있다.    


경남 하동 전남 광양의 섬진강 재첩잡이 손틀어업은 거랭이라고 하는 손틀 도구를 이용하여 재첩을 채취하는 어업방식이다.

섬진강은 국내 재첩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재첩의 주 생산지이며, 경남 하동군과 전남 광양시는 전통 어업유산 보전 관리를 위해 함께 협력하고 있다.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되면 어업유산지정서가 발급되고, 앞으로 3년간 어업유산 복원과 계승 등을 위한 예산*을 지원받게 된다.

이를 통해 지역 고유의 브랜드 가치 향상뿐만 아니라 어촌주민 소득 증대, 관광객 증가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학기 해양수산부 어촌어항과장은 앞으로도 우리 어촌에 계승되는 유 무형 어업 자산들을 적극 발굴하여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고, 국민들에게 국가중요어업유산의 가치와 보존 필요성 등을 널리 알리는 일에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djj.kr/news/view.php?idx=777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관련기사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